[현장연결] 정부, 의사 집단행동 대응 "종료 때까지 비대면진료 전면허용"<br /><br />정부가 의대 정원 확대에 반발하는 의사들의 집단행동과 관련해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열고 범정부 대응을 논의했는데요.<br /><br />관련 내용을 설명하고 있습니다. 현장 연결하겠습니다.<br /><br />[박민수 / 보건복지부 제2차관]<br /><br />23일 08시를 기해 보건의료 재난 경보 단계를 경계에서 심각으로 격상하였습니다.<br /><br />이에 정부는 금요일 오전 국무총리 주재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설치하였습니다.<br /><br />정부는 국민의 건강과 생명을 담보로 한 의사들의 집단행동과 의료 공백 위기에 대해 매우 엄중하게 생각하고 있으며 관계부처 및 17개 시도 협력체계 구축을 통해 의료공백 최소화에 필요한 모든 역량과 자원을 총동원할 계획입니다.<br /><br />앞으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국무총리를 본부장으로 하고 보건복지부 장관이 1차장으로서 비상진료대책과 집단행동 대응 총괄을, 행정안전부 장관이 2차장으로서 지자체 재난안전 관리를 총괄할 계획입니다.<br /><br />금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논의 사항을 말씀드리겠습니다.<br /><br />먼저 정부는 금일 2월 23일부터 의사 집단행동이 종료되는 시점까지 비대면 진료를 전면 허용합니다.<br /><br />이에 따라 별도의 신청이나 지정 없이 희망하는 의원, 병원 등 모든 의료기관에서 비대면 진료가 전면 시행됩니다.<br /><br />정부는 전공의 이탈이 심한 상급종합병원은 중증과 응급환자 진료에 역량을 집중해 의료진의 소진을 방지하고 중등증 이하 환자는 지역의 2차 병원급에서, 경증 외래 환자는 각각 진료토록 할 계획입니다.<br /><br />이 과정에서 높아진 지역의 병의원의 외래 수요에 원활하게 대처하기 위해 비대면 진료를 활용해 국민의 불편을 최소화하겠습니다.<br /><br />또한 정부는 진료 공백 장기화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기 위해 비상 진료 추가 대책을 수립하기로 하였습니다.<br /><br />원활한 환자 이송 전원에 필요한 추가적인 행, 재정적 지원 방안을 조속히 마련하여 브리핑을 통해 말씀드리겠습니다.<br /><br />오늘 회의에서 총리께서는 범정부 총력 대응 체계를 통해 사태를 조속히 해결하고 국민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셨습니다.<br /><br />또한 병원에 남아 환자를 지키고 계신 의사, 간호사, 병원 관계자들의 부담을 완화시키기 위한 지원을 조속히 강화할 것을 당부하셨습니다.<br /><br />정부는 앞으로 각 부처별 협력을 더욱 강화해 국민의 생명을 보호하는 데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.<br /><br />의사단체 집단행동 관련 서면 점검 결과를 말씀드리겠습니다.<br /><br />2월 22일 22시 기준 자료 부실 제출로 시정명령 예정인 6개 병원을 제외한 94개의 수련병원에 대한 점검 결과입니다.<br /><br />6개 병원이 통계에 포함되지 않았기 때문에 전날 대비 비교가 곤란하다는 점을 말씀드립니다.<br /><br />사직서 제출자는 소속 전공의의 약 78.5% 수준인 8,897명으로 전부 수리되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근무지 이탈자는 소속 전공의의 약 69.4%인 7,863명으로 확인되었습니다.<br /><br />21일 18시 기준 의사 집단행동 피해신고지원센터에 신규로 접수된 피해 사례는 총 40건입니다.<br /><br />수술 지연이 27건, 진료 거절이 6건, 진료 예약 취소가 4건, 입원 지연은 3건이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